맨위로가기

루이즈 미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즈 미셸은 1830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아나키스트, 교사, 혁명가, 작가이다. 그는 파리 코뮌에 참여하여 군사적 활동을 했고, 이후 누벨칼레도니아로 유배되어 아나키즘 사상을 접했다. 프랑스로 돌아온 후에는 아나키스트 활동을 이어갔으며,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미셸은 여성의 권리, 사회 정의, 노동자 계급을 옹호했으며, 19세기 후반 프랑스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아나코-페미니즘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저작을 남겼고, 오늘날까지 프랑스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코뮌 관련자 - 귀스타브 쿠르베
    귀스타브 쿠르베는 프랑스 출신의 사실주의 화가로,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들을 통해 예술관을 드러냈으며, 후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파리 코뮌 관련자 - 쥘 알릭스
    쥘 알릭스는 파리 코뮌에서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고 달팽이 전신과 같은 기이한 발명품을 고안했으며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중 여성에게 무기 사용을 제안한 사회주의자이다.
  • 오트마른주 출신 - 드니 디드로
    드니 디드로는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며, 특히 《백과전서》 편집을 주도하여 계몽주의 사상을 집대성하는 데 기여했다.
  • 오트마른주 출신 - 뤼시 데코스
    뤼시 데코스는 프랑스의 유도 선수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에서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2013년 은퇴했다.
  • 프랑스의 반자본주의자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반자본주의자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루이즈 미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루이즈 미셸 (1880년경)
직업혁명가, 교사, 의사
알려진 이유파리 코뮌 활동
루이즈 미셸 서명
인물 정보
출생일1830년 5월 29일
출생지브롱쿠르라코트, 프랑스
사망일1905년 1월 9일
사망지마르세유, 프랑스

2. 생애

프랑스교사, 아나키스트, 그리고 파리 코뮌의 주요 인물로서, 19세기 프랑스 혁명 운동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오트마른주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자유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 교사 자격을 취득한 후 교육 활동에 헌신했으나, 파리로 이주하면서 급진적인 정치 활동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 이 시기 빅토르 위고와 같은 문인들과 교류했으며, 블랑키주의를 지지하며 여러 혁명가들과 관계를 맺었다.

1871년 파리 코뮌 당시에는 선전, 구호, 전투 등 다방면에 걸쳐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코뮌이 진압된 후 체포되어 누벨칼레도니로 추방되었고, 유배 생활 중 현지 카나크족과 교류하며 아나키즘 사상을 받아들였다.

1880년 프랑스로 돌아온 이후에는 확고한 아나키스트로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신념을 알리는 데 힘썼다. 여러 차례의 체포와 런던 망명 생활 속에서도 혁명가로서의 활동을 멈추지 않았으며, 망명 중에는 국제 아나키스트 학교를 운영하기도 했다.

1905년 마르세유에서 폐렴으로 사망했으며, 그녀의 장례식에는 수많은 군중이 모여 그녀의 삶을 기렸다. 루이즈 미셸은 프랑스 혁명사와 아나키즘 운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으며, 파리 지하철역과 광장 등에 그녀의 이름이 남아 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루이즈 미셸은 1830년 5월 29일, 프랑스 북동부 오트마른주 브롱쿠르라코트의 브롱쿠르 성에서 하녀 마리안 미셸의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성주 로랑 드메이로 알려져 있으나[9], 공식적으로는 사생아였다. 그녀는 로랑 드메이의 부모(미셸은 이들을 "조부모"라 불렀다) 밑에서 자랐다. 브롱쿠르 성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타인에 대한 배려심이 깊었고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볼테르와 루소 등의 저작을 읽으며 자유주의적인 교육을 받았다.[14]

조부모가 세상을 떠난 후, 미셸은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1851년부터 오트마른주 쇼몽에서 학업을 이어가[10] "여성 부교사"(오늘날의 초등학교 교사에 해당) 자격을 얻었다.[11] 1852년 9월, 22세의 나이로 오트마른주의 Audeloncourt|오드롱쿠르프랑스어에 자유 학교를 세워 1년간 가르쳤고, 이후 파리로 거처를 옮겼다.[10] 1854년 말에는 Clefmont|클레몽프랑스어에 초등학교를 열었으나 이곳에서도 1년 정도만 머물렀다.[10] 1855년에는 Millières|밀리에르프랑스어에 초등학교를 세웠다.[12]

2. 2. 파리에서의 활동과 파리 코뮌

1856년, 루이즈 미셸은 파리로 이주하여 10구의 샤토 도 거리에서 여성 부교사로 교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녀는 보아리에 부인의 집에 기숙하며 오랫동안 모녀와 같은 관계를 유지했다.[9] 이 시기부터 적극적인 활동을 시작하여 이후 15년간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 1865년에는 우동 거리 24번지에 현대적이고 진보적인 교육 방식으로 명성을 얻은 통학제 학교를 열었고, 1868년에는 같은 거리에 또 다른 학교를 설립했다.[10]

미셸은 문학에도 깊은 관심을 보여, '앙졸라스'라는 필명으로 시를 쓰는 등 다양한 글을 발표했다.[13] 그녀는 저명한 프랑스 낭만주의자이자 존경하던 빅토르 위고와 1850년부터 1879년까지 서신을 주고받았으며[14], 여러 편의 시를 보내기도 했다. 위고는 그녀를 작품 속에서 비극적인 운명을 겪는 여성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파리에서 미셸은 급진적인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다. 그녀는 오귀스트 블랑키, 쥘 발레스, 테오필 페레, 라울 리고, 에밀 우드 등 혁명가들과 교류했으며, Le cri du peuple|인민의 외침프랑스어과 같은 반체제 신문에 글을 기고했다.[15] 1862년에는 '시인 조합'(Union des poètes프랑스어)의 회원이 되었고[10], 1869년에는 노동자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민주 교화 협회'(Société démocratique de moralisation프랑스어)의 사무국장을 맡았다.[14] 이 시기 미셸은 블랑키주의자로서 혁명적 사회주의 공화주의 운동을 지지했다.[9]

1869년, 앙드레 레오가 주도하여 여성주의 단체인 Société pour la Revendication des Droits Civils de la Femme|여성의 시민 권리 요구 협회프랑스어가 설립되었고, 미셸도 회원으로 참여했다. 이 단체에는 폴 민크, 엘리스카 뱅상, 엘리 르클뤼와 그의 아내 노에미, 마담 쥘 시몽, 캐롤라인 드 바라, 마리아 데라이스메 등도 함께했다. 다양한 의견 속에서 단체는 소녀 교육 개선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Revendication des Droits de la Femme|여성 권리 요구프랑스어로도 알려진 이 단체는 Société Coopérative des Ouvriers et Ouvrières|남녀 노동자 협동조합프랑스어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1869년 7월 선언문에는 협동조합 회원들의 아내들과 함께 나중에 파리 코뮌에서 미셸의 동료가 되는 소피 도크트리날('시민 포와리에'라는 이름으로 서명)도 지지를 표명했다.

보불 전쟁 중이던 1870년 8월, 미셸은 블랑키주의자 에밀 우드와 가브리엘 마리 브리도의 체포에 항의하는 활동을 벌였다.[10] 1870년 1월에는 빅토르 누아르의 장례식에 참석했으나, 그의 죽음이 제국 전복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에 실망감을 나타냈다. 파리 포위전이 시작된 1870년 11월 이후, 미셸은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에 나섰다.

1871년 5월 루이즈 미셸의 체포


프랑스 제2제정 붕괴 후인 1870년 9월, 미셸은 파리 18구 시민 감시 위원회(Comité de vigilance des citoyennes프랑스어) 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이곳에서 훗날 연인 관계가 되는[9] 테오필 페레를 만났다.[10] 그녀는 물자가 부족한 파리에서 학생들을 위한 식당을 열었으며, 당시 몽마르트르 구청장이었던 조르주 클레망소와도 교류했다. 한편, 미셸은 당시 혁명 운동 내에서도 아나키즘에 가까운 급진적인 입장을 취하여, 아돌프 티에르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정부 기능이 있던 베르사유를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직접 티에르를 암살하겠다고 자원하기도 했으나 동의를 얻지 못해 실행되지는 않았다.[16]

파리 코뮌이 발발하자 당시 40세였던 미셸은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71년 1월 22일에는 국민방위대 군복을 입고 파리 시청 광장에서 발포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10] 그녀는 선전원, 몽마르트르 제62대대 친위대원, 구호원, 전투원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으며, 생베르나르 드 라 샤펠 교회(Église Saint-Bernard de la Chapelle프랑스어)의 혁명 클럽에도 참여했다.[9] 1871년 3월 17일부터 18일에는 몽마르트르 언덕의 포격전에 참가했다.[10]

베르사유 정부군이 코뮌에 대한 공세를 강화한 4월부터 5월 사이에는 클라마르, 이시레물리노, 뇌이 등지에서 벌어진 전투에 직접 참여했다.[10] 5월에는 클리냥쿠르 바리케이드에서의 시가전에도 참가했으나, 이것이 그녀의 마지막 전투가 되었다. 당시 구금되어 있던 어머니를 석방시키기 위해 스스로 항복했기 때문이다.[15] 미셸은 동료들의 처형을 지켜봐야 했으며, 그중에는 연인 테오필 페레도 있었다. 그녀는 페레에게 Les Œillets rouges|붉은 카네이션프랑스어이라는 제목의 이별 시를 전했다. 재판 과정에서 미셸은 자신의 죽음을 요구했고, 이 소식을 들은 빅토르 위고는 그녀에게 바치는 시 Viro Majorla를 썼다고 전해진다.

1871년부터 1873년까지 미셸은 감옥으로 사용된 오브리브 수도원(Abbaye d'Auberive프랑스어)에 20개월 동안 구금되었고, 결국 국외 추방형을 선고받았다.[9] 이 시기 베르사유 정권의 선전물들은 그녀를 '피에 굶주린 암늑대' 또는 la bonne Louise|어처구니없는 루이즈프랑스어 등으로 묘사했다.[17] 1873년 8월 8일, 미셸은 배 ''버지니''호에 실려 누벨칼레도니로 이송되었다. 이송 중 배 안에서 그녀는 유명한 논객 앙리 로슈포르와 평생의 친구가 되었으며, 코뮌 활동가였던 나탈리 르멜을 만나 아나키스트 사상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2. 3. 누벨칼레도니 유배와 아나키즘



누메아의 루이즈 미셸


1873년 8월 8일, 20개월의 수감 생활을 마친 미셸은 배 ''버지니''호에 실려 누벨칼레도니로 이송되었다. 이때 코뮌 동료들과 함께 '벚꽃이 필 무렵'을 불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0] 4개월의 항해 끝에 누벨칼레도니에 도착한 그녀는 배 안에서 평생의 친구가 된 유명 논객 앙리 로슈포르와 코뮌 활동가 나탈리 르멜을 만났다. 특히 르멜과의 교류는 미셸이 아나키스트 사상에 깊이 공감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미셸은 남성과 다른 대우를 받는 것을 단호히 거부하며 7년 동안 누벨칼레도니에 머물렀다.[9] 이 기간 동안 현지 카나크족과 교류하며 친구가 되었고, 그들의 문화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카나크족의 전설, 우주론, 누벨칼레도니아어(특히 비슬라마어 크리올어) 등을 배우며 카나크 문화를 익혔고, 반대로 카나크족에게는 프랑스어를 가르쳤다. 또한 Petites Affiches de la Noubelle-Calédonie|누벨칼레도니아 소보프랑스어를 발행하고, Légendes et chansons de gestes canaques|카나크인의 전설과 무훈시프랑스어를 편찬하기도 했다.[18]

1878년 카나크족 반란이 일어나자 미셸은 그들의 편에 섰다.[9] 이는 카나크족을 억압했던 일부 파리 코뮌 출신 유배자들과는 대조적인 태도였다. 이듬해인 1879년, 그녀는 누메아에 거주하며 추방자들의 자녀들을 가르치는 교사가 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이 아이들 중에는 1871년 셰이크 모크라니의 반란으로 추방된 알제리 카빌족(이른바 "태평양의 카빌족")의 자녀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3] 이후 여러 여자 학교에서도 교편을 잡았다.

2. 4. 프랑스 귀국 이후의 활동

1880년 11월 9일, 사면 조치로 프랑스에 돌아온 루이즈 미셸은 민중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귀국 후 그녀는 수많은 강연과 토론에 참여하며 지칠 줄 모르는 투사로서 활동을 재개했다. 귀국 두 달 후에는 연재 소설 형식으로 『비참』(''La Misère'')을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1882년 3월 18일, 파리의 파비에 집회에서 미셸은 사회주의 독재 및 민주적 사회주의와의 결별을 분명히 하고, 아나키스트로서 검은 깃발(흑기)을 따를 것을 선언했다.

> 아군 병사의 피로 물든 붉은 깃발은 이제 충분하다. 나는 우리 죽은 자와 환상의 조문으로서 흑기를 게양하겠다.[19]

1890년에 다시 체포된 미셸은 정신 병원 강제 입원을 피한 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5년 동안 망명 생활을 했다. 런던에서 그녀는 학교를 열고 유럽의 아나키스트 망명자들과 교류했다. 1890년 피츠로이 스퀘어 19번지에 정치적 망명자 자녀들을 위한 국제 아나키스트 학교를 열었다.[4] 이 학교는 자유주의 교육자 폴 로빈의 영향을 받았으며, 미하일 바쿠닌의 교육 원칙을 따라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강조했다. 미셸은 아이들에게 인간애와 정의의 원칙을 심어주고자 했다. 교사 중에는 빅토린 루치-브로셔와 같은 망명 아나키스트뿐만 아니라 레이첼 맥밀란과 애그니스 헨리 같은 선구적인 교육자들도 있었다. 그러나 1892년, 학교 지하실에서 폭발물이 발견되면서 학교는 문을 닫게 되었다. (월솔 아나키스트 사건 참조) 나중에 이 폭발물은 학교 조수로 일했던 특별 수사대 요원 오귀스트 쿨롱이 설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런던 체류 기간 동안 미셸은 많은 영어권 출판물에 기고했으며, 그녀의 글 일부는 시인 루이자 새라 베빙턴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또한 아나키스트 소레다드 구스타보에 의해 스페인어로 번역되었고, 스페인의 아나키스트이자 노동 운동가인 테레사 클라라문트는 "스페인의 루이즈 미셸"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시기 미셸은 유럽 각지를 순회하며 수천 명의 청중 앞에서 연설하는 유명한 연설가가 되었다.

1895년, 미셸은 세바스티앙 포르와 함께 프랑스 아나키스트 정기 간행물 Le Libertaire|르 리베르테르fra(''자유주의자'')를 창간했다. 이 잡지는 현재 Le Monde Libertaire|르 몽드 리베르테르fra(''자유주의 세계'')라는 이름으로 발행되고 있다. 같은 해 런던에서 열린 아나키스트 회의에서 미셸은 엠마 골드만을 만났고, 두 사람 모두 연설을 했다. 젊은 골드만은 미셸에게 깊은 감명을 받았으며, 그녀를 "극도로 발달된 사회적 본능"을 가진 인물로 평가했다.

미셸은 1895년에 프랑스로 돌아왔다. 드레퓌스 사건으로 사회가 떠들썩했을 때, 그녀는 이 논란과는 거리를 두었다. 1896년 "나는 왜 아나키스트인가"라는 글에서 미셸은 "아나키는 영원한 불행을 다시 시작하지 않을 것이다. 절망적인 투쟁 속에서 인류는 심연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것에 매달릴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신념을 재확인했다. 1904년에는 프랑스령 알제리를 순회하며 강연 활동을 펼쳤다. 미셸은 반식민주의 운동가 이자벨 에버하르트를 만날 예정이었으나, 에버하르트는 미셸이 알제리에 도착하기 직전에 사망하여 만남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2. 5. 사망과 유산

미셸은 1905년 1월 10일 마르세유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파리에서 열린 그녀의 장례식에는 10만 명 이상이 참석했다. 미셸의 묘는 파리 교외에 있는 르발루아-페레 묘지에 있으며, 공동체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 묘지에는 그녀의 친구이자 동료 코뮌주의자인 테오필 페레도 함께 묻혀 있다.

그녀를 기리기 위해 프랑스 곳곳에 그녀의 이름을 딴 장소들이 생겨났다.

  • 1937년: 파리 제10구에 콜레주 루이즈-미셸( Collège Louise-Michel프랑스어 )이 개교했다.
  • 1946년 5월 1일: 파리 지하철의 레발루아-페레 발리에 역이 루이즈 미셸 역으로 개칭되었다.
  • 2004년: 몽마르뜨의 루이즈 미셸 광장이 그녀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 2024년: 2024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파리에서 헌정된 10명의 프랑스 여성 중 한 명으로 선정되어, 센 강변에 그녀의 금 동상이 세워졌다.

3. 사상

루이즈 미셸의 사상은 그녀의 삶의 경험과 함께 변화하고 발전했다. 초기에는 진보적인 교육자로서 여성 교육과 권리 신장에 힘썼으며, 파리의 급진적인 정치 활동에 참여하며 혁명적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파리 코뮌의 경험과 실패, 그리고 이후 누벨칼레도니에서의 유배 생활은 그녀의 사상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이 시기를 거치며 미셸은 평화적 개혁의 한계를 느끼고, 기존 사회 질서를 완전히 파괴하는 폭력 혁명만이 새로운 평등주의 사회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특히 유배지에서 동료 나탈리 르멜의 영향을 받아 아나키즘을 수용하고, 이후 평생 모든 형태의 정부와 권력을 부정하는 확고한 아나키스트가 되었다.[5]

미셸은 권력 자체를 악으로 규정하고, 자본주의권위주의 국가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녀는 노동자 계급이 겪는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기술 진보를 통한 부의 평등한 분배를 주장했으며, 여성의 권리 신장과 결혼의 자유를 외쳤다. 또한, 반식민주의 입장에서 알제리인 등 식민지 민중의 권리를 옹호하기도 했다. 후기에는 테러리즘보다는 대중의 자발적인 봉기를 통한 혁명을 강조했으며, 과학 기술의 발전이 인류 해방과 진보를 가져올 것이라는 강한 믿음을 보였다. 그녀의 사상은 페테르 크로포트킨 등이 서명한 리옹 아나키스트 선언 (1883)에 잘 나타나 있다.[5]

3. 1. 교육 사상

1890년 런던으로 이주한 미셸은 정치적 망명자 자녀들을 위한 국제 아나키스트 학교를 19 피츠로이 스퀘어에 열었다.[4] 이 학교의 교육 방식은 자유주의 교육자인 폴 로빈의 영향을 받았으며, 미하일 바쿠닌의 교육 원칙을 실천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강조했다. 미셸은 교육을 통해 아이들 사이에서 인간애와 정의의 원칙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학교의 교사진에는 빅토린 루치-브로셔와 같은 망명 아나키스트뿐만 아니라, 레이첼 맥밀란과 애그니스 헨리와 같은 선구적인 교육자들도 포함되었다. 그러나 1892년, 학교 지하실에서 폭발물이 발견되어 문을 닫게 되었다. (월솔 아나키스트 참조) 이 폭발물은 나중에 학교 조수로 위장 잠입했던 특별 수사대 요원 오귀스트 쿨롱(Auguste Coulon)이 설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3. 2. 여성 해방 사상

1865년, 루이즈 미셸은 파리에 학교를 열었는데, 이 학교는 현대적이고 진보적인 교육 방식으로 알려졌다. 그녀는 저명한 프랑스 낭만주의 작가 빅토르 위고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교류했고, 시를 발표하기도 했다. 미셸은 파리의 급진적인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으며, 오귀스트 블랑키, 쥘 발레, 테오필 페레 등과 같은 동료들과 함께 활동했다.

1869년, 미셸은 앙드레 레오가 주도하여 설립된 여성주의 단체인 Société pour la Revendication des Droits Civils de la Femme|소시에테 푸르 라 르방디카시옹 데 드루아 시빌 드 라 팜프랑스어(여성의 시민 권리 요구 협회)에 회원으로 참여했다. 이 단체에는 미셸 외에도 폴 민크, 엘리스카 뱅상, 엘리 르클뤼와 그의 아내 노에미, 마담 쥘 시몽, 캐롤라인 드 바라, 마리아 데라이스메 등이 함께했다. 회원들 간의 다양한 의견 차이로 인해, 이 단체는 우선 소녀들의 교육을 개선하는 데 활동의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했다.

Revendication des Droits de la Femme|르방디카시옹 데 드루아 드 라 팜프랑스어(여성 권리 요구)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이 단체는 Société Coopérative des Ouvriers et Ouvrières|소시에테 코페라티브 데 우브리에 에 우브리에르프랑스어(남녀 노동자 협동조합)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1869년 7월에 발표된 단체의 선언문에는 협동조합 활동가들의 아내들이 서명했으며, 나중에 파리 코뮌 시기 미셸의 가까운 동료가 되는 소피 도크트리날(그녀는 Citoyenne Poirier|시토이엔 푸아리에프랑스어라는 이름으로 서명했다)도 지지를 보냈다.

1870년 1월, 미셸은 앙드레 레오와 함께 언론인 빅토르 누아르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그녀는 누아르의 죽음이 당시 제국을 무너뜨리는 계기로 이어지지 못한 것에 대해 실망감을 표현했다. 같은 해 11월,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중 파리 포위전이 시작되자, 앙드레 레오는 한 강연에서 "우리가 정치를 하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는 인간일 뿐입니다."라고 선언하며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권리와 존엄성을 강조했다.

3. 3. 혁명적 사회주의와 아나키즘

미셸의 정치 사상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했다. 처음에는 진보적인 이상을 가진 교사였지만, 사회 활동을 통해 혁명적 사회주의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러나 파리 코뮌의 실패와 이후의 경험은 그녀를 더욱 급진적인 아나키스트로 만들었다. 그녀는 평화적인 개혁보다는 폭력 혁명을 통해 기존 사회를 완전히 파괴해야 새로운 평등주의 시대가 열릴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감옥 생활과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에서의 유배 경험은 이러한 사상이 바뀌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미셸은 추방되기 전 2년 동안 감옥에 있었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다른 죄수들과 동등한 대우를 요구했으며, 친구인 빅토르 위고조르주 클레망소가 형량을 줄이려는 노력도 거부했다. 특별 대우를 불명예로 여겼기 때문이다. 누벨칼레도니로 향하는 4개월간의 항해 중에 미셸은 혁명적 사회주의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그녀는 동료 수감자이자 코뮌 활동가였던 나탈리 르멜을 통해 아나키즘의 원리를 접하고 이를 받아들였으며, 이후 평생 모든 형태의 정부를 거부하게 되었다. 1896년 그녀는 자신의 사상 변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나는 과거의 일들, 사건들, 사람들을 생각했다. 코뮌 시절 우리 동지들의 행동을 돌이켜보았다. 그들은 양심적이었고, 자신들의 권한을 넘어서는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목숨을 바치는 것 외에는 어떤 일에도 온 힘을 다하지 못했다. 나는 권력을 가진 선한 사람들은 무능하고, 악한 사람들은 사악하다는 결론에 빠르게 도달했다. 따라서 자유는 어떤 형태의 권력과도 연결될 수 없다."

미셸은 권력 자체를 악으로 규정했다. 그녀에게 역사는 자유로운 사람들이 노예가 되는 과정의 기록이었다. 그녀는 모든 혁명이 단지 정치적인 것에 머물렀기 때문에 불충분했다고 보았다. 따라서 새로운 사회를 위해서는 조직이 필요 없으며, 가난하고 착취당하는 대중이 스스로 일어나 그들의 거대한 힘으로 낡은 질서를 무너뜨릴 것이라고 믿었다.

"우산의 새로운 기능", 미셸의 정치적 견해를 풍자한 삽화


아나키스트로서 미셸은 자본주의권위주의 국가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녀는 유럽 노동자 계층이 겪는 극심한 기아와 빈곤 문제에 주목했다. 그녀는 기술의 진보가 육체 노동을 대체할 것이며, 이것이 아나키즘적 정치 원리와 결합될 때 부의 평등한 분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1890년에 그녀는 "매일의 빵이 보장되고, 즐겁고 자발적인 몇 시간의 노동만으로도 필요한 것 이상을 생산할 수 있게 될 때, 진보의 매력적인 힘은 더욱 분명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녀는 자본주의 은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본 집중이 소규모 사업체와 중산층의 몰락을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셸은 아나키스트적 관점에서 여성의 권리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여성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을 뿐만 아니라, 결혼은 자유로워야 하며 남성이 여성에 대한 재산권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후기 저작에서 미셸은 초기와 달리 테러리즘을 통한 혁명보다는 대중의 자발적인 봉기를 더 강조했다. 그녀는 "폭정의 머리가 하나이거나 소수일 때만 폭군은 실용적이다. 그것이 히드라처럼 여러 머리를 가졌을 때는 오직 혁명만이 그것을 죽일 수 있다"고 썼다. 그녀는 혁명 이후 지도자들이 사라져야 사람들이 새로운 부담을 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미셸은 역사가 단순히 끊임없는 진보의 과정이라고 보지는 않았지만, 진보가 가능하다고 믿었다. 그녀에게 진보는 지적 발전, 사회 진화, 그리고 해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녀는 과학 기술의 발전이 인류에게 더 나은 미래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 "과학은 사막에서 수확을 가져올 것이다. 폭풍과 소용돌이의 에너지는 산을 가로지르는 길을 낼 것이다. 해저 탐사선은 잃어버린 대륙을 발견할 것이다. 전기는 북극 상공으로 비행선을 보낼 것이다. 자유, 평등, 정의의 이념이 마침내 불꽃처럼 타오를 것이다. 각 개인은 인류 전체의 일부로서 자신의 완전한 삶을 살게 될 것이다. 진보는 무한하기에 변화는 영원할 것이다."

미셸은 자신의 견해가 리옹 아나키스트 선언 (1883)에 잘 나타나 있다고 회고록에서 밝혔다. 그 선언은 페테르 크로포트킨, 에밀 고티에, 조셉 베르나르, 피에르 마틴 및 투생 보르다에 의해 서명되었다.[5] 크로포트킨, 쥘 게스드, 에밀 푸제 등은 그녀의 가까운 친구이자 동료였다.

3. 4. 반식민주의

1880년 파리 코뮌 참여자들에 대한 사면 이후 파리로 돌아온 미셸은 혁명 활동을 계속했다. 프랑스에서 그녀는 샤를 말라토 및 빅토르 앙리 로슈포르, 로슈포르-뤼세 후작와 함께 알제리인의 뉴칼레도니아 추방자들에 대한 사면을 성공적으로 요구했다.

4. 평가와 영향

루이즈 미셸은 사후에도 프랑스 사회, 특히 아나키즘사회주의 진영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그녀의 혁명적인 삶과 사상은 후대의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프랑스 좌파 정치 지형에서 중요한 상징적 인물로 자리매김했다.[28][29] 프랑스 전역에서는 그녀를 기리는 다양한 기념 사업과 추모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4. 1. 프랑스에서의 평가

루이즈 미셸은 1905년 1월 10일 마르세유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녀의 파리 장례식에는 10만 명 이상이 참석하여[3] 당시 그녀의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미셸의 묘는 파리 교외의 르발루아-페레 묘지에 있으며, 동료 코뮌주의자였던 테오필 페레와 함께 묻혀 있다. 1916년까지 매년 르발루아-페레의 묘지에서 그녀를 기리는 기념 집회가 열렸다.[15] 1946년에는 그녀의 유골이 같은 묘지 내 "의무에 헌신한 자"(Victimes du devoir) 구역으로 이장되었다.[10]

프랑스 사회에서 루이즈 미셸은 지속적으로 기억되고 기념되고 있다. 다수의 공립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건물 정면에 그녀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1937년 9월 24일에는 르발루아-페레에 그녀를 기념하는 지하철역 "루이즈 미셸"이 개설되었다. 또한 2004년 2월 28일, 몽마르트르와의 인연을 기려 사크레쾨르 대성당 인근의 빌레트 광장이 '루이즈 미셸 광장'으로 개칭되었다. 이는 기존 광장 명칭의 유래가 된 만화가 아돌프 레옹 빌레트의 반유대주의적 성향이 파리 시의회에서 문제시되어 변경된 것이다.

파리 정치사회 연구소는 "대화·민주주의·평화의 발전"에 공헌한 인물을 기리기 위해 "루이즈 미셸상"을 주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상이 자이느 엘 아비디네 벤 알리나 호스니 무바라크와 같은 인물에게 수여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24]

2005년 미셸 서거 10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 행사가 열렸다. 파리 시와 CNRS 및 파리 제1대학교와 연계된 사립 문화 단체 Actazé[25] 주최로 3월에 '루이즈 미셸: 그 영역 횡단적인 초상'이라는 콜로키움이 개최되는 등,[26] 학술적 재조명이 이루어졌다. 이 콜로키움에는 루이즈 미셸 연구자 22명이 참여하여 그녀의 현대적 의미와 인간성에 주목했으며, 이를 기념하는 연극도 제작되었다.[27]

루이즈 미셸은 이론적 저작보다는 평생에 걸친 '사회 혁명' 활동을 통해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28] 2008년 11월 29일, 좌익당 창당 준비 과정에서 장뤼크 멜랑숑장 조레스와 함께 루이즈 미셸을 당의 상징적인 인물로 언급하며 "우리는 좌익당을 설립하면서 두 개의 초상을 수호신으로 삼아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선언하여,[29] 그녀가 프랑스 좌파 정치 지형에서 여전히 중요한 상징임을 보여주었다.

4. 2. 한국에서의 영향

(내용 없음)

5. 저작


  • ''어둠 속의 빛. 더 이상 바보도 미치광이도 없다. 지적인 영혼. 자유로운 아이디어. 땅에서 하나님에 이르는 맑은 정신...'' (Lueurs dans l’ombre. Plus d’idiots, plus de fous. L’âme intelligente. L’idée libre. L’esprit lucide de la terre à Dieu…프랑스어), 파리, 1861년.
  • ''새해의 책: 아이들을 위한 역사 소설, 이야기 및 전설'' (Le Livre du jour de l’an : historiettes, contes et légendes pour les enfants프랑스어), 파리, 1872년.
  • ''르 가르 이본, 브르타뉴 전설'' (Le Gars Yvon, légende bretonne프랑스어), 파리, 1882년.
  • ''국제 혁명 여성 연맹, 회의 소집.'' (Ligue internationale des femmes révolutionnaires, Appel à une réunion.프랑스어), "루이즈 미셸" 서명, 파리, 1882년.
  • ''미스, 파리 풍습의 위대한 소설'' (Nadine, grand roman de mœurs parisiennes프랑스어), 루이즈 미셸과 장 게트르 공저, 파리, 1882년.
  • ''비참함'' (Les Méprisées프랑스어), 2부 루이즈 미셸 저, 1부 장 게트르 저, 파리, 1882년.
  • ''제국 사생아'' (Les Bâtards impériaux프랑스어), L. 미셸과 J. 윈터 공저, 파리, 1883년.
  • ''루이즈 미셸의 변호'' (Défense de Louise Michel프랑스어), 보르도, 1883년.
  • ''인민의 딸'' (La Fille du peuple프랑스어), L. 미셸과 A. 그리파 공저, 파리, 1883년.
  • ''파리 시민들에게 보내는 루이즈 미셸의 선언 및 포고'' (Manifeste et proclamation de Louise Michel aux citoyennes de Paris프랑스어), "루이즈 마불" 서명, 파리, 1883년.
  • ''이야기와 전설'' (Contes et légendes프랑스어), 파리, 1884년. (제이드 메트르가 영어로 번역하여 ''Fairy Tales and Legendseng''로 출판)
  • ''카나크의 전설과 노래'' (Légendes et chants de gestes canaques프랑스어), 파리, 1885년. (미치 아비도르가 영어로 번역하여 ''Legends and Chants des Gesteseng''로 2005년 출판)
  • ''회고록'' (Mémoires프랑스어), 파리, 1886년. (불릿 로우리와 엘리자베스 엘링턴 건터가 편집 및 번역하여 ''The Red Virgin: Memoirs of Louise Micheleng'' (붉은 처녀: 루이즈 미셸의 회고록), 앨라배마 대학교 출판부, 1981년 출판)
  • ''인간 미생물'' (Les Microbes humains프랑스어), 파리, 1886년. (브라이언 스테이블포드가 번역하여 ''The Human Microbeseng''로 출판)
  • ''새로운 시대, 마지막 생각, 뉴 칼레도니아에서의 추억 (죄수들의 노래)'' (L'Ère nouvelle, dernière pensée, souvenirs de Calédonie (Chants des captifs)프랑스어), 파리, 1887년.
  • ''시대의 범죄'' (Crimes de l'époque프랑스어), 미발표 단편 소설, 파리, 1888년.
  • ''매력적인 사이클을 통한 백과사전 강독'' (Lectures encyclopédiques par cycles attractifs프랑스어), 파리, 1888년.
  • ''새로운 세계'' (Le Nouveau Monde프랑스어), 파리, 1888년. (브라이언 스테이블포드가 번역하여 ''The New Worldeng''로 출판)
  • ''점령'' (Prise de possession프랑스어), 생-드니, 1890년.
  • ''삶을 통해'' (À travers la vie프랑스어), 시집, 파리, 1894년.
  • ''콩뮌'' (La Commune프랑스어), 파리, 1898년.
  • ''클라크-뎅'' (Le claque-dents프랑스어), 파리. (출판 연도 미상)


'''사후 출판'''

  • ''1권. 콩뮌 이전'' (Vol. I. Avant la Commune프랑스어), 로랑 타이에드 서문, 알포르빌, 1905년.
  • ''농민들'' (Les Paysans프랑스어), 루이즈 미셸과 에밀 고티에 공저, 파리, 미완성. (출판 연도 미상)
  • ''꿈'' (Le Rêve프랑스어), (콩스탕 마르탱의 작품에 포함), 파리, 1898년.
  • ''밤에서 당신에게 씁니다. 일반 서신, 1850-1904'' (Je vous écris de ma nuit : correspondance générale, 1850-1904프랑스어), 자비에르 고티에가 편집, 파리-막스 샬레이 판, 1999년.
  •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로 돌아올 것이다": 루이즈 미셸이 빅토르 위고에게, 감옥과 유형지에서 보낸 편지 (1871–1879)'' (« Nous reviendrons foule sans nombre » : Louise Michel à Victor Hugo, lettres de prison et du bagne (1871–1879)프랑스어), 버지니 베를링 편집, 콜. 그르니앙의 셍 탕페스 기, 트리 아르티스 편집, 파리 2016.

참조

[1] 서적 La Commune: 1871 Jules Rouff 1908
[2] 서적 La Commune de 1871 2014
[3] 웹사이트 Deportation to New Caledonia http://www.iisg.nl/c[...] 2016-08-21
[4] 웹사이트 The anarchist school in Fitzroy Square https://fitzrovianew[...] 2011-03-31
[5] 웹사이트 Manifesto of the Anarchists: Lyon 1883 https://robertgraham[...] Robert Graham's Anarchism Weblog 2009-06-27
[6] 학술지 I am only interested in women who struggle https://www.lrb.co.u[...] 2024-05-23
[7] 웹사이트 Banksy, immenso maestro di Zeitgeist, ha dipinto la Vergine rossa su una nave salva migranti https://www.elle.com[...] 2022-02-22
[8] 웹사이트 Paris Olympics Opening Ceremony: All the Biggest Moments From the Games' Kickoff https://variety.com/[...] 2024-07-27
[9] 문서 Dictionnaire biographique du Mouvement ouvrier français http://biosoc.univ-p[...] Les Editions de l'Atelier 1997
[10] 웹사이트 Chronologie de la vie de Louise Michel sur ac-creteil.fr http://www.ac-cretei[...]
[11] 학술지 女性の職業のパイオニア ― フランス第三共和政前半 の女性小学校教師 https://doi.org/10.1[...]
[12] 서적 Les Voix de la Liberté Seuil 2001
[13] 웹사이트 Louise-MICHEL http://www.terresdec[...]
[14] 웹사이트 Sur toupie.org http://www.toupie.or[...]
[15] 웹사이트 Sur le site ac-grenoble.fr http://www.ac-grenob[...]
[16] 서적 La vie ardente et intrépide de Louise Michel Édition Tops-H. Trinquier 2005
[17] 서적 Histoire de ma vie, 2e et 3e parties Presses Universitaires de Lyon 2000
[18] 웹사이트 http://lire.ish-lyon[...]
[19] 문서 Meeting salle Favié 1882-03-18
[20] 서적 Saint-Germain des Prés et son faubourg Parigramme 2005
[21] 인용
[22] 간행물 L'Idée libre 1959-04
[23] 웹사이트 La Grande Loge Féminine de France https://www.glff.org[...] 2019-03-31
[24] 뉴스 Bouteflika, prix Louise-Michel http://www.humanite.[...] humanite.fr
[25] 웹사이트 公式サイト http://www.valeriemo[...]
[26] 웹사이트 Louise Michel, Figure de la Tranversalité http://www.valeriemo[...]
[27] 문서 Présentation http://biosoc.univ-p[...]
[28] 서적 Souvenirs d'un préfet de police http://gallica.bnf.f[...] J. Rouff 1885
[29] 웹사이트 Verbatim du discours fondateur du Parti de Gauche http://www.jean-luc-[...]
[30] 웹사이트 Sur atelierdecreationlibertaire.com http://atelierdecrea[...]
[31] 웹사이트 Disponible sur le serveur Gallica http://visualiseur.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